목록학문 / Science (12)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경제사회학이란 무엇이며 또 무엇이어야 하는가? 슘페터의 말처럼 경제학과 사회학 간의 연관관계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먼저, 사회의 물적 기반으로서 경제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찍이 ‘자기조정적 시장 체제’에 대한 비판자였던 칼 폴라니조차 어느 정도는 인정한 바 있고,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가장 유명한 비판자인 칼 마르크스 역시 경제적 토대에 대한 자신의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를 연구했으며, 심지어 오늘날에는 경제적 원리로 간주되는 것들이 사회의 조직/작동원리로까지 수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경제 역시 사회의 존재를 전제하지 않고서는 스스로의 존재의 이유를 찾을 수 없다. 사회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경제의 행위자나 대상, 공간 등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토록 밀접하게 ..
목차 1. 들어가며 2. ‘군자’와 ‘소인’을 바라보는 기존 시각 1) 위대한 군자와 편협한 소인 2) 법치가 아닌 덕치의 필요성 3) 소결 3. 춘추 시대 당시 ‘군자’와 ‘소인’의 성격 1) 춘추 시대 2) ‘군자’와 ‘소인’의 대립 3) ‘군자’와 ‘소인’이 포함된 인(人)과 구분되는 민(民)의 성격 4) 소결 4. ‘덕’을 통한 ‘군자’와 ‘소인’의 조화 가능성 1) 응보(應報) 관념으로서의 덕 2) 군자와 소인 사이의 덕 3) 소결 5. 현대 한국 사회에 필요한 ‘군자’와 ‘소인’ 6. 나가며 참고문헌 1. 들어가며 50여 년이라는 대한민국의 짧은 역사 동안, ‘국가’는 최고의 가치였다. 신흥 국가가 북한이라는 ‘반체제 집단’과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고, 나아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가..
중앙대학교에서 Bob Jessop 등 여러 학자들을 모시고 11월 20-21일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Chung-Ang International Symposium Program November 20th(Thursday) 10:00am Special Lecture by Bob Jessop “Globalization and the Future of the National State” 2:00pm Symposium Opening Welcoming Remark by Seung-Wook Baek(Department Chair) Opening Remarks by Tae-Kuk Jun(Former KSA chairperson) 3:00pm Session 1 Moderator: Hee..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 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메일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 보리라 진실로 진실로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까닭은 내 나의 사랑을 한없이 잇닿은 그 기다림으로 바꾸어 버린데 있었다 밤이 들면서 골짜기엔 눈이 퍼붓기 시작했다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칠 것을 믿는다 다만 그때 내 기다림의 자세를 생각하는 것 뿐이다 그 동안에 눈이 그치고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지고 또 눈이 퍼붓고 할 것을 믿는다 --- 누구는 이 시를 고3 때 쓰고 지금껏 읽히는데, 나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있다.
나이차는 조금 있지만 상당히 내가 현재 생각하고 있고, 또 미래에 생각하게 될 것이라 걱정하고 있는 문제들을 다룬 글. 논문이라 보기에는 가볍고 재밌는 에세이. '교수' 같은 '지식 노동자' 혹은 '지식인'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일독을 권함. 우리나라에서 오늘날 그렇게 살고자 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조금은 식상하지만, 사실적인 글.
강의는 정말 별로지만, 제공되는 논문들은 꽤 재밌는 것부터 새로운 발견이라 생각되는 것들까지 좋다고 생각해서 올림. 공유할 만한 듯. 저작권 표기도 되어 있고, 이미 강사가 제공한 것이니 되지 않을까 싶음. '모스크바'로 불리며 '빨갱이 마을'로 낙인 찍인 한 마을 민중들의 구술을 바탕으로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좌우 대립을 비롯한 사회 변화가 민중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재미있게 풀어낸 논문.
존 로크는 중세로부터 이어내려 온 유명론과 ‘주체’라는 근대적 문제설정의 결합을 통해 독자적 흐름을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의 철학적 사고를 전개해나갔다. 그러나 그는 ‘중세적 유명론’과 ‘데카르트적 근대 철학’을 거부함으로써 자신만의 색깔을 찾았다. 먼저, 중세 당시의 유명론자들은 아무리 논의를 극단으로까지 확장시키더라도 ‘신학’이라는 ‘금단의 영역’을 침범하거나, ‘부정’하는 ‘중죄’를 지을 수 없었기 때문에 믿음의 영역인 신학에는 이성의 논리가 통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한계로 지정하고 있었다. 그 결과, 그들에게 있어 인간이 진리를 탐구하는 ‘주체’로 오롯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은 극히 적었다. 하지만 로크는 탈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데카트르처럼 독립적 인식주체를 설정하여 과학적 진리를 추구하였고,..
목차 1.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 개괄 2) 자본주의 3) 종파적 특성 4) 자본주의 정신 5) 직업 6) 프로테스탄티즘(칼뱅주의)의 윤리와 금욕주의 7) 기타 종파 2. 막스 베버 테제에 대한 논쟁 1) 에른스트 트뢸치 2) 베르너 좀바르트 3) R. H. 토니 4) 윈드럽 S. 허드슨 5) H. M. 로버트슨 6) 아민토레 판파니 7) 알버트 하이머 3. 막스 베버 테제와 그 논쟁의 학문적, 역사적 영향 1) 막스 베버는 무엇을 말하려 했나 2) 막스 베버 테제에 대한 비판의 성격 3) 유럽 자본주의의 모순과 막스 베버 4) 의의 4. 마치며 참고문헌 1.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 개괄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자신의 저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