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휴머니스트 (3)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Talitha Koum : "첫번째 쪽글 - 좌파로 살고싶다" "2번째 쪽글" 내가 한 사람의 인생을 망친 것이 아닌가 싶어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으로부터 나와 같은 생각을 보게 되어 깜짝 놀랬다. 그가 부디 평생 "좌파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살면서도 행복하"길 바란다. 아, 물론 나도. 지금까지 한동안 휴머니스트를 자처해왔던 스스로가 안티-휴머니스트임을 깨달았다. 극히 편협하고 꼬여 있으며, 편향되어 있다. 이제 비-합리주의를 접해야 할 단계인가?
김산 평전 - 이원규 지음/실천문학사 이 글은 하나의 메모에 불과하다. 이라 불리는 고전을 거치지 않고, 이라는 검증되지 않은 우회로를 통한 김산에 대한 접근인 탓이다. 따라서 이 글은 차후, 을 읽은 뒤에 작성할 서평을 위한 하나의 서곡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구체적으로 상술하기 보다는 대략적인 개요를 잡는 데 만족하도록 하자. 이 책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지점은 김산 - 본문에서는 보통 장지락이라 지칭되는 - 의 혁명 활동 기저에 자리잡고 있는 것은 휴머니즘, 즉 인간애라는 지점이다. 그가 민족주의-아나키즘-공산주의라는 사상적 유목을 거치면서도 놓지 않은 마지막 조각이 바로 휴머니즘이었다. 이는 일생 전반에 걸쳐 톨스토이로부터의 진한 영향에서 드러난다. 휴머니즘이라는 바탕과 일제에 의한 조국 강점이라..
난 휴머니스트를 자처한다. 내가 자의적으로 규정한 휴머니즘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다. 하지만 난 그 기준에 기반하여 내 스스로를 판단해 보았을 때, 아직 '과도기'에 머물러 있다. 다시 말해, 모든 인간에 대한 사랑을 체화시키지는 못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 꾸준히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점은 자신있게 단언할 수 있다. 어쨌든, 아직 내가 싫어하는 유형의 이들이 있다. 이들은 특히 내가 이번 학기에 듣는 수업 중 '기독교와 유럽문명'에서 마주치는 두 명의 인간이다. - 사나운 눈빛 - 오만한 표정 - 상대를 업신여기는 말투 - 공격적인 태도 - 억지와 집착, 거짓말 일단 생각나는 것은 이 정도. 내가 이 이유들 때문에 그들을 싫어한다는 것은 다시 말해 내 스스로 저런 면모를 갖추지 않도록 노력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