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잠 (6)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요즘 '9 to 6'를 몸소 실천하고 있다. 일 때문이 아니라 시차 탓이다. 저녁 8시만 되면 쏟아지는 잠 때문에 헤롱대기 시작하다가 잠들어서 6시 이전에 잠이 깬다. 한국 시간 저녁 8시가 미국 서부로 치면 새벽 4시 경이고, 아침 6시는 오후 2시인 탓이다. 낮잠을 자도 이 규칙이 깨지지는 않는다. 낮잠 시간까지 합하면 하루에 총 12시간도 잘 수 있다. 초저녁 잠을 극복하기 위해 일부러 불편한 곳 - 예를 들면 거실 바닥, 쇼파 위 등 - 에서 잠들어도 새벽까지 쭉 잔다. 지난 몇 년간 아침잠의 노예였던 것을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괴물같은 시차다. 개인적으로는 나쁘지 않다. 밤만 되면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차라리 그 때 자고 아침에 일어나서 무언가 하는 것이 낫다. 요즘은 그 시간을 어찌할..
지난 주에 이 곳에 와서 처음으로 운동exercise을 했다. 농구를 했는데, 문제는 농구 자체가 아니라 체력. 반 년 정도 거의 운동을 안 해서인지, 원래 체력이 약해서인지 이 곳에 와서 처음으로 스스로가 싫어질 정도였다. 그래서 거금 140$를 내고라도 체육관에 등록하기로 마음 먹었다. 오늘은 그 이후 처음으로 운동을 하러 갔다. 30분 정도 트레드밀에서 뛰고 왔는데, 조금 힘들지만 좋다. 일단 목표했던 '응어리'는 풀고 왔다. 오후 늦게부터 일이 꼬이기 시작해 가슴이 답답하고 안절부절 못 하고 있었는데 말끔하게 해결! 애초에 이 곳에 오면서 세운 목표 중에 하나가 건강해지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언제부턴가 달리는 체력을 잠으로 해결하곤 했었는데, 이젠 좀 벗어나고 싶다. 하고 싶은 일도 조금씩 명확해..
룸메이트가 도착했다. 중국에서 태어나 10여년 간 살다가 어머니가 이탈리아 인과 재혼하는 바람에 이탈리아로 옮겨가 나머지 인생의 절반 가량을 산 남자. 중국어와 이탈리아어는 물론이고 영어도 잘한다. 전공은 경영 행정. 분야가 겹치다 보니 수업도 일부 같이 들을 것 같다. 보니까 GMAT을 공부하고 있던데, 아무래도 경제학 공부하다 모르면 물어볼 수 있을 것 같다. 이탈리아에서 나처럼 한 학기 온 거긴 한데, 프로그램이 달라서 나보다 처지가 낫다. 그리고 같이 온 친구들은 본래 학교에서 수업을 같이 들으며 알던 사람들이란다. 아무래도 그 사람들과 (필요에 의해서) 좀 친해질 것 같다. 개새끼. 단순히 같이 사는 게 아무래도 혼자 사는 것보다 불편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아직 시차적응을 못했는지, 아침 내내 ..
살면서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느낄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오늘도 딱 그런 꼴. 단잠을 자고 있었다. 간만에 기억에 남는 꿈도 꾸고. 쿠와쿠와도 나오고 노트폐인도 나오고. 7시 30분에 알람을 듣고 깼었지만, 너무 피곤해서 잠을 더 청했다. 8시 30분에 기숙사에서 마련한 캠퍼스 투어가 있었지만, 당장 졸린데 어쩔 수 없지 뭐. 그렇게 두 시간 쯤 잤을까, 누군가 문을 급하게 두드렸다. 깜짝 놀라 깨서 나가보니 어제 요청한 수리 때문에 온 것. 와서 살펴보더니 지금 부품이 있는지 모르겠다며 잠시만 기다리라며 나간 사람이 한 시간째 깜깜 무소식이다. 문제는 타이밍이다. 캠퍼스 투어는 시간을 한참 넘겼다. 게다가 아침 배식 시간도 끝났다. 오늘 공식적으로 할 일은 없다. 지금 또 잠들긴 밤 잠을 걱정해야 할 처..
맥주가 혈관을 타고 흐르는 동안은 잠이 잘 온다. 지금 이 순간을 놓치고 싶지 않다.
공부한답시고 학교 동아리 방에서 잤다가 지옥을 맛보았다. 의자 두개를 붙여 놓고 앉아서 자려고 했지만 목과 등이 아파 계속 깼고, 잠에 취한 상태로 머리를 쓴다고 써서 다른 의자를 사이에 붙여서 몸을 펴고 잤지만 다른 친구가 공부를 한다고 불을 켜서 수시로 깼다 잠들었다를 반복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적지 않은 시간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일어났을 때의 상태는 최악이었다. 결국 지금 심각한 두통과 소화불량으로 고생하고 있다. 아무래도 감기 몸살인 듯 싶다. 하지만 가장 아픈 건, 역시 이렇게 아프다 하더라도 챙겨 줄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다. 시험 기간이니까, 다들 공부하느라 바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