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시간표 (8)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돈을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 학교 등록을 한 뒤 휴학할 생각이다. 그래서 수강신청을 하려고 며칠 전부터 날짜를 기억해두고 있었다. 그래서 시간표를 짜려고 시간표 프로그램을 켰는데, 어라, 오늘은 홀수 학번 신청하는 날이네. 왜 늘 이렇게 2% 부족하게 사는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그냥 기념으로 시간표만 짰다. 내일 이 시간에는 학교에 있을 것 같아서 저녁 때 돌아와서 접속해도 들어갈 수 있을 것 같은 과목들과 들어보고 싶은 과목들, 재밌을 것 같은 과목들 위주로 짰다. 물론 수강은 하지 않는다. 아, 못하는 것이기도. 그림은 5분 만에 짠 시간표 기념샷. 아, 서양사학과부터 넣었더니 시간표 맞는 게 마땅히 없어서 사회학과 과목이 적고 경제학과 과목은 한 번 더 후순위로 밀려서 역시 맞는 시간대로 찾다보니..
월 화 수 목 금 10~11 9.5~11 미국사 고전정치경제학 미국사 고전정치경제학 미국사 11~12 11~12.5 노동경제학 노동경제학 12~1 12.5~2 국제경제사 국제경제사 1~4 2~3.5 4~5.5 3.5~5 동유럽경제 현대정치경제학 동유럽경제 현대정치경제학 5~6 6~9 경제학연습 벌써 개강하고 한 주일이 지났다. 실제로는 화요일부터 수업이 시작되었지만 – 월요일은 마틴루터 킹 기념일이라 휴일이었다. – 어쨌든 어제 금요일 수업까지 들은 탓에 선택한 수업 전반에 대해 소감이라는 걸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눈썰미 좋은 이는 발견했겠지만, 수업의 일부가 줄었다. 첫 시간, 혹은 두 번째 시간까지 듣고 나니 '아, 여기서 이건 들을 만 하겠구나.' / '아, 이것까지 들으려고 하는 건 지나친 무..
월 화 수 목 금 10~11 9.5~11 미국사 정치경제학고전이론 미국사 고전정치경제학이론 미국사 11~12 11~12.5 노동경제학 노동경제학 12~1 12.5~2 성소수자이해 / 한국근대여성 국제경제사 성소수자이해 / 한국근대여성 국제경제사 성소수자이해 / 한국근대여성 1~4 2~3.5 유럽근대지성사 / 한국근대문학 유럽근대지성사 / 한국근대문학 4~5.5 3.5~5 동유럽경제 / 한국근대사 한국근대문학비평 / 정치경제학현대이론 동유럽경제 / 한국근대사 한국근대문학비평 / 정치경제학현대이론 5~6 3:00-6:00 한국문화연구 6~9 경제학연습 이번 학기 예상 시간표다. 사실 인터넷이 되기 시작한 어젯밤부터 이걸 짜고 있었다. 듣기로 잠정적으로 결정한 경제학과 전공 과목들 외에 타과 과목들 중에서 관..
일단 현재 신청해 놓은 시간표. 야구는 첫 번째로 넣었는데 다행히 들어가서. 사회봉사로 바뀔 수도 있음. 같이 들을 사람 없나. ㅠ_ㅠ 국제적 시각과 협력을 위한 공동강의는 최근에 느낀 동아시아, 라는 테마 때문에. 아마 수업 들어보고 결정할 듯? 경제학사도 들어보고 지식과 문학의 사회학으로 갈지도. 사회계층과 불평등도 들어보고. 20세기 후반사로 바꾸던가 경제사회학으로 바꾸던가 세계화 시대의 노동과 기업으로 바꿀 듯. 예술과 천재론은 일단 넣어뒀는데 학생자율연구 때문에 뺄 듯.
급하게 짰지만 크게 변하진 않을 거 같다. 인구와 경제는 조금 고민. 경제사회학도 약간은. 사회계층과 불평등으로 바꿀지도. ㅎㅎ 여기에 학생자율연구1까지 해서 21학점. 야구는 안 되면 사회봉사2로 할까 생각중. ㅎㅎ 만약 이대로 듣는다면 경제학 33학점, 서양사학 18학점, 사회학 15학점. 복수전공은 학점 채우기가 힘들지 말입니다. -_-; 이외에는 서양사특강, 사회학특강, 지식과 문학의 사회학, 한국사회사, 세계화시대의 노동과 기업 등에 관심이 있습니다. 다른 적당한 과목들 추천 받을게요. 덧. 컹, 다 쓰고 보니 목요일에 학교 가기 싫겠..
드디어 결정됐다! 마지막 날, 이 순간까지 고민하다가 결국 '하고 싶은 것'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뭐, 어떻게든 되겠지. 하늘색이 수강과목이고, 갈색이 청강과목이다. 아마, 다 하지는 못하겠지만, 일단 마음은 뿌듯하다. (수강과목 시간표가 좀 전위예술 같긴 하다만...) 사회봉사1이 싱겁게도 재택 번역으로 바뀌어서 좀 여유가 생긴 것 같다. 아닌가 -_-?
결국 돌고돌아 대략적으로 수강신청을 마치게 됐다. (계획했던 시간표 : 2008/01/28 - [저널 / Zenol] - 2008_01_Timetable) 월 화 수 목 금 토 0 1 2 현대사회학이론 (016-216) 한상진 저널리즘의 이해 (016-104) 경제통계학 (083-305) 류근관 경제통계학 (083-305) 류근관 3 4 5 세계화와 사회발전 (016-215) 공석기 재정학 (083-505) 이준구 재정학 (083-505) 이준구 20세기 전반의 역사 (007-110) 이용우 6 7 아마도 이게 1학기 시간표가 될 것 같다. 사실 여기서 경제통계학은 서양사학과 전공 서양의 근대 문화(100.144)나 일반교양 서양철학의 고전(004.119)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경제학부 과목은 질리고..
1. 근대경제사, 재정학은 확실히 들을 듯. (근대경제사 같이 들을 분 구해요. ㅠ 재정학도 있다면...) 경제통계학도 아마 들을 듯. (류근관 교수 께 그나마 가장 쉽다니까..) 마르크스경제학은 한 학기동안 세미나 등을 통해 자본론을 대략적으로 다 보는 것을 목표로 하기에 청강해 볼 생각. 프랑스어회화는 이번 겨울 계절학기에 프랑스어입문1을 들은 것이 여름 방학 때까지 프랑스어 회화를 할 수 있게 되기 위해서 였으므로.. 시간 봐서 화목 1교시 것을 들을지도. 현대사회학이론은 아직 강의 계획서가 안 나와서 잘 모르겠지만, 아마 완소일 듯. 서양근대철학은 들을 수도, 안 들을 수도. 강의계획서만 보면 괜찮을 것 같은 데, 어려울 것 같기도 하고... 근데 하루 종일 경제학만 하면 삭막하니까 들을지도.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