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재 (2)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여기 한 남자가 있다. 나이보다 열 살은 족히 들어 보이는 늙수그레한 외모, 보는 사람의 생기마저 앗아가 버릴 듯한 음울함, 히키코모리를 떠오르게 하는 무뚝뚝함, 그야말로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온몸으로 체현하고 있는 듯한 그, 이시가와. 이미 개봉한지 시간이 지난 터이고, 또 영화 자체가 초반에 용의자 X의 정체를 공개하니 여기서도 까놓고 시작해보자. 그렇다. 예상대로, 이시가미가 용의자 X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해 '사회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를 떠올린다면 그대는 인문학의 영향을 '좀' 받은 이일 것이다. 자, 그렇다면 이시가와는 '인간'인가? 앞서 외양과 느낌을 묘사한 데서 느껴지듯이 그란 인간은 사실 일반적 '인간'의 상과 상당히 다르다. 아니, 오히려 가장 멀리 ..
가장 완전한 천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유산.다 빈치의 유산 뷜렌트 아탈레이 지음, 채은진 옮김/말글빛냄 20세기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소설가인 장 폴 사르트르는 쿠바 ․ 볼리비아 등지에서 활동한 혁명가 체 게바라를 일컬어 ‘20세기 가장 완전한 인간’이라 평한바 있다. 『다빈치의 유산 (원제 MATH & THE MONA LISA)』를 읽고 난 지금, 내가 그 표현을 조금 빌자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의 가장 완전한 천재’가 아닐까 한다. 표현이 좀 더 유사성을 띠자면 특정 세기의 인물이라 해야 옳겠지만, 그가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반에 걸쳐 살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정 세기보다는 르네상스라는 문화적 격변기를 온전히 살아낸 천재라고 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 같다. 레오나르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