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진리 (1)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철학] 철학과 굴뚝청소부 2장 로크 부분 - 작업중
존 로크는 중세로부터 이어내려 온 유명론과 ‘주체’라는 근대적 문제설정의 결합을 통해 독자적 흐름을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자신의 철학적 사고를 전개해나갔다. 그러나 그는 ‘중세적 유명론’과 ‘데카르트적 근대 철학’을 거부함으로써 자신만의 색깔을 찾았다. 먼저, 중세 당시의 유명론자들은 아무리 논의를 극단으로까지 확장시키더라도 ‘신학’이라는 ‘금단의 영역’을 침범하거나, ‘부정’하는 ‘중죄’를 지을 수 없었기 때문에 믿음의 영역인 신학에는 이성의 논리가 통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한계로 지정하고 있었다. 그 결과, 그들에게 있어 인간이 진리를 탐구하는 ‘주체’로 오롯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은 극히 적었다. 하지만 로크는 탈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데카트르처럼 독립적 인식주체를 설정하여 과학적 진리를 추구하였고,..
학문 / Science
2007. 1. 24.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