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군자 (1)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소인이 우리를 자유롭게 하리라 - 왜 모든 한국인이 ‘군자’여야 하는가?
목차 1. 들어가며 2. ‘군자’와 ‘소인’을 바라보는 기존 시각 1) 위대한 군자와 편협한 소인 2) 법치가 아닌 덕치의 필요성 3) 소결 3. 춘추 시대 당시 ‘군자’와 ‘소인’의 성격 1) 춘추 시대 2) ‘군자’와 ‘소인’의 대립 3) ‘군자’와 ‘소인’이 포함된 인(人)과 구분되는 민(民)의 성격 4) 소결 4. ‘덕’을 통한 ‘군자’와 ‘소인’의 조화 가능성 1) 응보(應報) 관념으로서의 덕 2) 군자와 소인 사이의 덕 3) 소결 5. 현대 한국 사회에 필요한 ‘군자’와 ‘소인’ 6. 나가며 참고문헌 1. 들어가며 50여 년이라는 대한민국의 짧은 역사 동안, ‘국가’는 최고의 가치였다. 신흥 국가가 북한이라는 ‘반체제 집단’과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고, 나아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국가..
학문 / Science
2008. 12. 28. 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