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회계약론 (2)
.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or Your Information
서울대출판부에서 번역한 '사회계약론'은 '일반의지(General Will)'이라는 핵심 개념을 '전체 의사'라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오역을 한 판본이라 별로 추천하고 싶지가 않네요. 이게 가장 큰 오역이고 나머지 자잘한 것들이 좀 있어요. 그래도 이것만 유의하면 일단 대체적인 이해에는 큰 무리가 없겠지만, 그래도 범우사에서 나온 '사회계약론'이 더 좋을 듯 하군요. Just For Your Information!
저널 / Zenol
2007. 11. 1. 01:00
[정치학] J. J. Rousseau, "Du Contract Social" /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루소는 『사회계약론』의 제1권에서 가장 핵심인 사회계약(6장)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주권자(7장), 그리고 그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 신분(8장)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의 제1권 전체에 걸친 주장은 1장 제1부의 주제에 간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본래 자유인으로 태어났지만, 어디서나 쇠사슬에 묶여 있는 존재이다. 그가 복종을 강요당하고, 또 그대로 복종하는 한 그는 잘 하고 있는 것이지만 그가 속박에서 벗어날 힘을 갖게 된 후 그 속박을 이겨낸다면 그는 더욱 잘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자유를 되찾는 건 자유를 뺏긴 것과 똑같은 권리로 행하는 일이며, 그가 빼앗긴 자유를 되찾는 건 정당한 일이 되거나 아니면 애초에 그로부터 자유를 빼앗아 간 것 자체가 부당한 일이 되기 때문이다. 인간..
학문 / Science
2006. 11. 18.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