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의 소설로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플라톤 『국가』 제3권 요약 본문

ㄴ 플라톤, <국가>

플라톤 『국가』 제3권 요약

zeno 2008. 7. 29. 17:39

  『국가』 제3권에서 소크라테스와 아데이만토스는 2권에서 다루던 시가의 내용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특히, 이들은 국가를 지키는 ‘수호자들’ - “장차 신들을 숭배하고 어버이를 공경하며 서로간의 우정을 하찮게 생각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사람들” (386a) - 에 대한 시가 교육을 주로 다루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들에게 교육되는 시가가 “그들 - 필자 주: 시인들 - 이 이야기하는 것들이 진실도 아니거니와, 장차 전사들로 될 사람들을 위해 유익하지도 않기 때문”에 “저승의 일들을 이처럼 무조건적으로 험하게 말하지 말고 오히려 찬양하도록 요구해야만 될 것”이라 말한다. (386b) 뿐만 아니라, 그가 생각하기에 수호자는 “훌륭하게 살아가는 데 있어서 스스로 가장 자족할 수 있어서, 남들과는 판이하게 타인이 가장 덜 필요”하므로, (387d) “죽음보다는 노예의 신세를 더 두려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387b) 게다가 소크라테스는 젊은 수호자들이 “웃음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되어서도 아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388e)
  모든 사인(私人)에게는 “역시 정직(진실: aletheia)은 반드시 귀히 여겨야만” 된다고 말하는 소크라테스는 반면, 통치자들의 거짓말은 “나라의 이익을 위해서 적이나 시민들 때문에 그러는 것이 합당”하다고 말한다. (389b) 그 대신 사인(私人)에게는 “마치 배를 그러듯, 나라를 전복하고 파괴할 그러한 관행(epitedeuma)을 들여오는 자로서 벌줄” 것이라고 한다. (389d) 한편 그는 ‘절제(sophrosyne)’를 매우 강조한다. 대중이 “통치자들에 대해서는 순종하는 반면, 주색이나 먹는 것과 관련된 쾌락에 대해서는 자신들이 다스리는 자들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389e) 이는 수호자들에게도 해당되는데, 뇌물과 재물 역시 이들이 경계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소크라테스는 아킬레우스의 고사를 들며 국가를 설정하고 있는 자신과 아데이만토스가 “시인들에게 강요해서, 이들로 하여금 이것들은 그들 - 필자 주: 신의 아들이나 영웅 등 시가의 주인공 - 이 한 짓이 아니라고 말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그들은 신들의 자식들이 아니라고 말하도록 해야지, 이 두 가지 모두를 말하는 일은 없도록 해야만” 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시인들이 우리의 젊은이들로 하여금 신들이 나쁜 일들을 생기게 하며, 영웅들도 보통 사람들보다 조금도 나을 것이 없다고 믿게끔 하려 드는 일이 없도록 해야만” 한다고 재차 다짐한다. “그런 이야기들은 경건하지도 않고, 진실되지도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391d)
  이렇게 신, 수호신, 영웅, 지하 세계 등에 대한 언급을 마친 소크라테스는 이제 마지막으로 인간들에 관한 이야기의 내용을 다뤄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인간들에 관해서 이러저러한 말들을 해야 된다는 데 대한 우리의 합의는 올바름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올바름이 그걸 지닌 자에게, 그가 그런 사람으로 보이건 또는 보이지 않건 간에, 그 본성상 어떻게 이득이 되는지를 알아내게 되는 그때에야 보게 되겠”노라며 (392c) ‘이야기 투’ (말투: lexis)에 대한 논의로 넘어간다.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이야기(이야기 진행: diegesis)’는 “단순한 이야기 진행(이야기)에 의해서나 또는 모방(mimesis)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야기 진행에 의해서 또는 이 양쪽 다를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다. (392d) 또한, “이야기 진행은 그때그때의 발언(rhesis)을 이야기할 때에도, 그리고 발언들 사이의 것들을 이야기할 때에도 있는” 것이다. (393b) 이 때, 비극(tragodia)과 희극(komodia)은 “전적으로 모방에 의해서 되는 것”이며 서사시(epe)는 “시인 자신이 이야기하는 것에 의해서 된 것”이다. (394c)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우리의 수호자들이 모방에 능한 사람들로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그렇게 되어서는 아니 되는지를 생각해”보자고 제안한다. (394e) 하지만 그는 앞에서 주장했던 것처럼 어떤 일이든지 “개개인은 저마다 한 가지 일(업무: epitedeuma)을 훌륭하게 수행해 내지, 많은 일을 그렇게 하지는 못하며” “모방의 경우에 있어서도 이치는 똑같아서, 동일한 사람이 여러 가지 것을 모방할 때에는, 한 가지 것을 모방할 때처럼, 훌륭하게 할 수는 없”기에 (394e) 수호자들은 그들의 본래 업무인 “‘자유의 일꾼(구현자)’(demiourgos eleutherias)”로서의 일 외에는 “그 밖의 어떤 것에도 매달려서는 아니 되며 또한 어떤 것도 모방해서는 아니” 된다고 말한다. (395c) 다만 이들은 “모방을 할 경우에도, 이들에게 어울리는 것들을, 즉 용감하고 절제 있고 경건하며 자유인다운 사람들을, 그리고 이와 같은 모든 것을 바로 어릴 때부터 모방해야만” 한다. (395c)
  따라서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이야기 투’(lexis)에는 “이야기 진행 중에 훌륭한 사람의 어떤 말투나 행동의 대목에 이르면, 마치 자신이 그 사람이기라도 한 듯이, 그렇게 말하고 싶어할 것이며, 이런 모방에 대해서 부끄러워하지도” 않고, “그 훌륭한 사람이 꿋꿋하게 그리고 슬기롭게 행동할 때에 특히 그를 모방하고 싶어”하지만, “그 사람이 질병이나 사랑으로 인해 또는 만취나 다른 어떤 불행한 일로 좌절되어 있을 때에는, 덜 그리고 소극적으로 모방하려 할” 것이며, “반면에 자기에게 어울리지 않는 사람의 대목을 만나게 되면, 그는 자신보다도 못한 사람을 열의를 갖고 흉내내고 싶어하지는 않”으며 그런 모방을 내심으로 경멸하는 ‘절도 있는’(metrios) 사람의 방식과 그렇지 않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396c) 자연히 그가 보기에는 “순수하게 훌륭한 사람을 모방하는 자[의 유형]”이 (397d) 그 자신의 정체(政體: politeia)에 적절하다. 이 때, 이 정체에 걸맞은 시인과 설화 작가는 “우리한테 훌륭한 사람의 말투를 모방해 보여 주며, 이야기를 함에 있어서도, 앞서 우리가 군인들을 교육하는 데 착수했을 때, 처음에 우리가 법제화했던 그 규범들에 의거해서” 하는 이일 것이다. (398b)
  마지막으로, 선법(旋法, harmonia)과 리듬(rhythmos)은 노래말(가사: logos)을 따라 간다. 이 때의 선법은 크게 ‘강제적인 것’과 ‘자발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리듬과 선법(화음: harmonia)은 혼의 내면으로 가장 깊숙이 젖어 들며, 우아함을 대동함으로써 혼을 가장 강력하게 사로잡고, 또한 어떤 사람이 옳게 교육을 받는다면, 우아한(고상한) 사람으로 만들 것이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그 반대로 만들 것”이다. 또한 “시가에서 마땅히 받아야 할 교육을 받은 이는 빠져서 없는 것들과 훌륭하게 만들어지지 못한 것들 또는 훌륭하게 자라지 못한 것들에 대해서 가장 민감하게 알아볼 것이며, 그야말로 옳게 싫어할 줄을 알아서, 아름다운 것들은 칭찬하며 즐거워하여 혼 속에 받아들임으로써, 이것들에서 교육을 받아, 스스로 ‘훌륭하디훌륭한’ 사람으로 되는데, 일찍이 어려서부터, 그 논거(이론: logos)도 알 수 있기 전에, 추한 것들은 비난하고 미워하기를 옳게 하다가, 이렇게 교육받은 사람인지라, 그 논거를 접하게 되면, 그 친근성 덕에 그걸 알아보고서는 제일 반길 것”이다. (401d ~ 402a)
  한편, 소크라테스는 수호자들은 “혼 안에 훌륭한 성격(성품)들이 있게 된 데다, 이것들과 합치하고 조화되는 것들이 외모에도 있게 된다”고 말한다. (402d) 이어서 그는 “시가와 관련된 것들은 어쩌면 아름다운 것에 대한 사랑으로 끝나야만 할 것”이라며 시가를 두고 펼친 논의를 마친다. (403c)
  소크라테스의 다음 대화는 “어릴 적부터 일생을 통해 정확하게 받아야만” 하는 ‘체육(gymnatike)’에 대해 이뤄진다. (403c) 그의 생각은 “몸이 건강하다고 해서, 몸이 자신의 ‘훌륭함’ (훌륭한 상태: arete)에 의해서 혼을 훌륭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거꾸로 훌륭한 혼이 자신의 ‘훌륭함’에 의해서 몸을 최대한 훌륭한 것이게끔 만들어 주는 것”이다. (403d) 따라서 이 같은 훌륭함을 위해 수호자들에게는 “단련 중인 선수들의 습성(hexis)이 적합”하다. (404a) 즉, “최선의 체육”은 “단순한 시가와 유사한 것”이다. (404b) 그의 관점에서 볼 때, “다양성(poikilia)이 앞의 경우 - 필자 주: 시가 - 에는 무절제를 낳았지만, 이 경우에는 질병을 낳는 데 비해, 단순성(haplotes)은 시가와 관련해서는 혼에 절제를 낳고, 체육과 관련해서는 몸에 건강을 낳”는 것이다. (404e)
  한편, 다양성이 초래할 수 있는 무절제와 질병을 통제하기 위해 훌륭한 판관과 의사의 필요성이 도출된다. 판관의 자질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훌륭한 사람들은 젊어서는 순진해 보이고, 올바르지 못한 사람들한테 잘 속기도 하는데, 이는 자신들 안에 못된 사람들과 공감할 수 있는 본(paradeigma)들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며 (409b) “실은 그래서 훌륭한 판관은 젊은 사람 아닌 나이 든 사람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가 보기에 나이든 이는 “올바르지 못함이 어떤 것인지를 늦게야 배우게 되는데, 그는 자신의 혼 안에 그것이 친숙한 것으로서 있는 걸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낯선 혼들 안에 있는 그 낯선 것이 본성상 어떻게 나쁜 것인지를 오랜 세월 동안 노력한 끝에 분명하게 알게 되며, 이는 자신의 경험을 이용함으로써 하게 되는 것이 아니고, 지식을 이용함으로써 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409c)
  소크라테스는 의술 역시 “나라의 차원에서 입법화”하여야 한다며 강조한다. (409e) 다만 그 의술의 방향은 “시민들 중에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성향상 알맞은 사람들은 돌보되,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그 중에서 신체적으로 그런 사람들은 죽도록 내버려두고, 정신적으로 그 성향이 나쁘고 불치 상태인 사람들은 스스로 죽게끔” 한다는 잔혹한 모습을 보인다. (410a) 다만 그가 보기에 “시가 교육을 받은 사람은, 자신이 원한다면, 역시 같은 발자취를 좇아가며 체육 교육을 받음으로써,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의술이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될 것이다. (410b) 그러나 이 때 “시가와 체육으로 교육하도록 제도화한 사람들은, 일부 사람들이 생각하듯, 체육으로는 몸(soma)을 보살피되 시가로는 혼(psyche)을 보살피기 위해 이를 제도화한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혼을 위해서 양쪽 다를 제도화한 것”이다. (410c) 따라서 이들은 “사나움과 거칠음, 그리고 반대로 부드러움 및 온순함”을 모두 갖춘 존재들이다. (410d) 다만 이 두 가지는 지나치면 모두 역효과를 가져온다. “순전히 체육만 해온 사람들은 ‘필요’(필요한 정도: to deon) 이상으로 사나워지게 되는 반면에, 시가만 해온 사람들은 그들대로 자신들을 위해 좋은 정도 이상으로 부드럽게 된다”는 것이다. (410d) 또한, “사나움은 천성의 격정적인 면에서 유래하겠는데, 이 격정적인 면은 옳게만 양육되면, 용감해지는 것이지만, ‘필요’ 이상으로 조장하게 되면, 아마도 경직되고 거칠어지는 것”이다. (410d) 한편, “온순함은 지혜를 사랑하는(愛知的) 성향”으로써 “너무 느슨해지면, ‘필요’ 이상으로 부드러워지지만, 훌륭하게 양육될 경우에는, 온순하고 단정하게 될 테”이다. (410e) 따라서 “수호자들은 성향상 이들 양면을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410e) 또한, “이 양면이 조화를 이룬 사람의 혼은 절도 있고 용감하”며 “그것들이 조화를 이루지 못한 사람의 혼은 비겁하고도 사납”다. (411a)
  “이 양면이 ‘적절할 정도’ (to prosekon)만큼 조장되고 이완됨으로써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의 이 나라에서도 그 정체(政體: politeia)가 보존되려면,” “교육(paideia)과 양육(trophe)의 ‘규범(typos)들’(typoi)”이라는 ‘감독자’가 필요하다. (412a ~ 412b) 그 다음에는 “이들(수호자들) 중에서 누가 ‘다스리고’ (archein), 또 누가 ‘다스림을 받을’ (archesthai)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412b) 소크라테스에게는 “통치자들(hoi archontes)은 연장자들이어야 되겠지만,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은 연소자들”이어야 한다. (412c) 물론, 이 때의 통치자들은 “그들 중에서도 ‘가장 훌륭한 사람(最善者)들’ (hoi aristoi)”이며 “나라를 가장 잘 지키는 사람들”이어야 한다. (412c) 이들을 바라보는 소크라테스나 아데이만토스는 “이들이 전(全)연령의 단계마다에서 그 신념(dogma)을 지키려는 마음의 상태에 있는지를, 그래서 나라를 위한 최선의 것들을 해야만 된다는 소신(doxa)을, 홀려서도 강제에 의해서도, 잊거나 내팽개치는 일이 없는지를 지켜보아야만” 한다. (412e) 이로써 수호자들은 “내부의 동료들이 나라를 해칠 엄두도 내지 못하게 하는 한편으로, 외부의 적들이 그럴 수도 없도록 하”는 ‘완벽한 수호자들’ (phylakes panteleis)과 “통치자들(hoi archontes)의 신념을 위한 보조자들(epikouroi) 및 협력자들(boethoi)”로 나뉜다. (414b)
  마지막으로 소크라테스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그러한 필요한(마땅한) 경우에 부응하는 거짓말을, 즉 한 가지의 훌륭한 거짓말을 함으로써 누구보다도 특히 통치자들 자신이 곧이듣도록 할 수 있는, 만약에 그게 불가능하다면, 나머지 시민이라도 곧이듣도록 할 수 있는 어떤 방도”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414c) 그가 망설이며 꺼낸 이 이야기는 결국 이들이 구상하고 있는 나라에는 ‘페니키아의 전설’처럼 통치자들의 정당성을 위한 일종의 ‘건국 신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탄생한 국가의 수호자들은 어떠한 사유 재산도 가질 수 없으며, 공동 식사와 공동 생활을 하여야 한다. 이로써 『국가』 제3권의 논의는 종료된다.